미국 시가총액 순위 알아보기 (1위부터 10위까지!)
이번 글에서는 미국 시가총액 순위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시가총액은 기업의 규모와 경제적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라고 할 수 있는데요.
주식 투자에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꼭 한 번쯤 확인해 보셔야 할 내용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미국의 주요 기업들이 시가총액 순위에서 몇위를 차지하고 있는지, 1위부터 10위까지 하나씩 살펴보도록 할게요.
(해당 순위는 7월 말 기준이며, 추후 변동 가능성이 있다는 점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

미국 시가총액 순위 1위 : 애플(AAPL)
- 티커 : AAPL
- 시가총액 : 3.37조 달러
애플은 시가총액 3.37조 달러로 미국에서 가장 높은 시가총액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워낙 잘 알려져 있어 더 이상 설명이 필요 없는 기업이기도 하죠.
아이폰, 아이패드, 맥북 등 혁신적인 제품들은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고 있는데요.
특히 애플의 성공 비결 중 하나는 ‘애플 생태계‘에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다양한 애플 제품과 서비스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시켜주기 때문입니다.
몇 달 전까지만 해도 애플은 AI 분야에서 뒤처졌다는 평가를 받으며 마이크로소프트에 밀리는 상황이었는데요. 한시적으로 엔비디아에 시총 1위를 빼앗기기도 했죠.
하지만 애플 인텔리전스 발표 이후 주가가 상승하면서 다시 시가총액 1위를 탈환했습니다.
미국 시가총액 순위 2위 : 마이크로소프트(MSFT)
- 티커 : MSFT
- 시가총액 : 3.18조 달러
마이크로소프트는 시가총액 3.18조 달러로 애플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시가총액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운영체제인 윈도우로 유명하지만, 클라우드 서비스, 오피스 프로그램, 게임 콘솔인 Xbox 등 다양한 사업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특히 챗GPT의 개발사인 오픈AI에 대한 투자를 통해 마이크로소프트의 AI 분야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기도 했습니다.
미국 시가총액 순위 3위 : 엔비디아(NVDA)
- 티커 : NVDA
- 시가총액 : 2.67조 달러
엔비디아는 시가총액 2.67조 달러로 미국 시가총액 순위 3위를 차지했습니다.
엔비디아는 시스템 반도체 설계 및 AI 칩 분야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는 기업인데요. GPU 시장에서도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주로 게임용 그래픽카드를 만들었으나, 최근에는 AI 칩 생산에 집중하면서 급성장하고 있어요. 지난 6월에는 한시적으로 시가총액 1위를 달성하기도 했습니다.
미국 시가총액 순위 4위 : 구글(GOOG, GOOGL)
- 티커 : GOOG(알파벳 C), GOOGL(알파벳 A)
- 시가총액 : 2.12조(알파벳 C) 2.10조 달러(알파벳 A)
시가총액 순위 4위를 기록한 기업은 우리에게 익숙한 기업이기도 한 구글입니다.
구글은 검색 엔진과 유튜브,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로 잘 알려져 있죠. 광고를 주 수익 모델로 삼고 있으며,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하는 웨이모 등의 다양한 자회사도 운영 중입니다.
혁신적인 기술과 축적된 방대한 데이터를 통해 앞으로도 꾸준히 성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미국 시가총액 순위 5위 : 아마존(AMZN)
- 티커 : AMZN
- 시가총액 : 1.92조 달러
아마존은 시가총액 1.92조 달러로 다섯 번째로 높은 시가총액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아마존은 인터넷 서점으로 시작해 현재는 온라인 소매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거대 기업입니다.
클라우드 서비스인 AWS(아마존 웹 서비스) 역시 아마존의 성공 비결 중 하나로 꼽히는데요. AWS는 많은 기업과 개인이 이용하는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아마존의 주요 수익원 중 하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6위 : 메타 플랫폼스 (META)
- 티커 : META
- 시가총액 : 1.19조 달러
6위는 메타 플랫폼스로 시가총액은 1.19조 달러입니다.
메타는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스레드 등 SNS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으며, 메타버스 사업에도 진출하고 있습니다. (메타버스는 아직 적자이고 주요 수익은 SNS 광고에서 나오는 중)
최근에는 최신 AI 모델인 라마 3.1을 오픈소스로 공개하면서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7위 : 버크셔 해서웨이(BRKb, BRKa)
- 티커 : BRKb, BRKa
- 시가총액 : 각각 약 9,541 달러
7위는 버크셔 해서웨이가 차지했는데요. 구글처럼 BRKb(클래스 B), BRKa(클래스 A) 2개로 상장이 되어 있고 시가총액은 각각 약 9,541억 달러입니다.
버크셔 해서웨이는 워렌 버핏이 이끄는 투자회사로 유명하죠. 다양한 산업에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BRKa는 주식 분할을 하지 않은 주식인데요. 일반인들이 접근하기 힘들 정도로 1주당 주가가 매우 비쌉니다.
BRKb는 주식 분할을 여러 차례 한 주식이기 때문에 1주당 주가가 a주식에 비해 저렴하며, 보통 투자자들은 BRKb로 투자를 많이 합니다.
8위 : TSMC(TSM)
- 티커 : TSM
- 시가총액 : 7,446억 달러
8위는 시가총액은 약 7,446억 달러 규모인 TSMC가 차지했습니다.
TSMC는 대만의 대표적인 반도체 기업으로, 타 기업으로부터 설계도를 받아 반도체를 위탁생산하는 파운드리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 삼성이 있다면, 대만에는 TSMC가 있다고 이야기할 수 있죠.
미국 뉴욕증시에는 주식예탁증서(ADR) 방식으로 상장되어 있습니다.(대만증권거래소에도 상장되어 있음!)
9위 : 테슬라(TSLA)
- 티커 : TSLA
- 시가총액 : 7,374억 달러
9위는 테슬라로 시가총액은 약 7,374억 달러입니다.
테슬라는 전기차 분야에서 높은 점유율을 자랑하는 기업으로, 자율주행, 재생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일론 머스크의 혁신적인 리더십 아래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물론 테슬라의 최대 리스크는 머스크 CEO라는 말도 있습니다.😅)
10위 : 일라이 일리(LLY)
- 티커 : LLY
- 시가총액 : 7,258억 달러
10위는 일라이 일리가 차지했는데요. 시가총액은 약 7,258억 달러 정도입니다.
일라이 일리는 조금 생소하게 느껴지는 분들도 있을 듯 한데요. 비만치료제로 유명한 제약회사입니다.
체중 감량 신약인 ‘젭바운드’가 2023년 11월 미국에서 정식 승인을 받은 후 판매가 시작되었으며, 현재 미국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미국 시가총액 순위와 각 기업들의 주요 사업 분야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았습니다.
안정적으로 투자하고 싶다면 시가총액이 큰 회사에 투자하라는 말도 있는데요.
물론 시가총액이 크다고 해서 안정성과 수익을 보장되는 것은 아니지만, 어느정도 참고는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미국주식 투자가 처음이라 어떤 주식에 투자해야 할지 고민이신 분들이라면 오늘 정리해드린 내용 참고하셔서 본인에게 맞는 종목을 골라보셔도 좋을 것 같네요.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코엑스 주차요금 및 주차 할인 받는법 (+근처 저렴한 주차장 추천)
2024년 손 없는 날 알아보기 (주말과 겹치는 날은 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