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문주소 동호수 표기법 알아보기 (state, city 구분)

영문주소 동호수 표기법 알아보기 (state, city 구분)

이번 글에서는 영문주소 동호수 표기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해외직구나 해외여행을 자주 하시는 분들이라면 영문주소를 작성해야 하는 상황이 많지 않을까 싶은데요.

정확하게 작성하는 방법을 몰라서 헷갈리신 적도 한번쯤 있으실 듯 합니다.

지금부터 영문주소 표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영문주소 동호수 표기하는 법, state 및 city 구분법, 그리고 영문주소 자동변환하는 방법까지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영문주소 동호수 표기방법

영문주소 기본 구조 이해하기

우리나라에서 주소를 작성할 때는 큰 단위에서 작은 단위 순서로 적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식이죠.

서울시 송파구 올림픽로 135
우편번호 : 05502

하지만 영문주소는 이와 반대로 작은 단위부터 큰 단위로 적어야 합니다. 그리고 각 단위는 쉼표로 구분해 주어야 하는데요.

위 주소를 영문주소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이 됩니다.

135, Olympic-ro, Songpa-gu, Seoul, Republic of Korea
05502

⇒ 이때 중요한 포인트는 도로명이나 도시 이름의 첫 글자는 대문자로 표기해 주어야 한다는 점!

그리고 ‘OO로‘ 와 ’OO구‘ 의 경우 중간에 하이픈을 넣어 구분을 해 주셔야 합니다.

우편번호는 한글 주소와 마찬가지로 주소 하단에 적어주면 됩니다.

영문주소 동호수 표기 방법

아파트에 사시는 분들은 동과 호수를 어떻게 표기해야 할지 헷갈리실 수 있습니다.

영문주소는 작은 단위부터 큰 단위로 적어야 하다보니 호수를 먼저 적고 동을 나중에 적어야 하나? 하고 고민될 수 있는데요.

그냥 ‘동-호’ 순서로 적으면 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103동 505호라면 ‘103-505’라고 적어주면 됩니다.

예시)

서울시 송파구 올림픽로 135, 103동 505호
우편번호 : 05502

⇒ 영문으로 바꾸면:

103-505, 135, Olympic-ro, Songpa-gu, Seoul, Republic of Korea
05502

이렇게 작성하시면 됩니다.

만약 지하층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호수 앞에 basement를 뜻하는 ‘B’를 붙여서 ‘B101’ 식으로 적으면 되고,

층수만 표기해도 되는 경우라면 floor를 뜻하는 ‘F’를 붙여서 ‘2F’라고 표기하시면 됩니다.

영문주소 변환 쉽게 하는 방법 (영문주소 변환기)

주소를 직접 영어로 바꾸기 어렵다면 영문주소 변환 서비스를 이용하면 됩니다.

가장 간편한 방법 중 하나는 네이버에서 ‘영문주소 변환’이라고 검색하는 것인데요.

검색 결과로 나오는 주소 입력 창에 자신의 주소를 검색하면 자동으로 영문주소로 변환된 결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영문 철자 등이 헷갈릴 때 해당 방법을 이용하면 훨씬 편리하게 영문주소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영문주소 City와 State 구분?

해외직구 사이트에서 주소를 입력하다 보면 주소 입력 란에 ‘City’와 ‘State’ 항목을 보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State(주)’라는 체계가 없다보니 다소 헷갈릴 수 있는데요.

해외직구 사이트에 주소를 입력할 때에는 아래 기준에 따라 하시면 됩니다.

State ⇒ 서울시 및 광역시(인천, 부산 등), 도(경기도, 강원도 등)

City ⇒ 시에 속한 구(강남구, 마포구, 동작구 등..) 및 도에 속한 시(김포시, 파주시, 이천시, 광명시, 수원시..)

예를 들어 서울시 강남구라면 City에는 ‘Gangnam-gu’를, State에는 ‘Seoul’이라고 입력하시면 됩니다.


지금까지 영문주소 표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영문주소 동호수 표기하는 법, state 및 city 구분법, 그리고 영문주소 자동변환하는 방법까지 함께 살펴보았습니다.

정리해드린 내용만 잘 숙지하신다면 해외직구나 여행 시 헷갈리지 않고 쉽게 영문주소를 입력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해요.

오늘 내용이 영문주소 작성이 필요한 분들께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2024 신용등급 점수표 (+신용점수 조회 및 점수 올리기 팁)

건강보험료 산정기준, 직장 지역 가입자 어떻게 다를까?(+계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