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최저시급 주휴수당 포함 금액 알아보기(+최저임금 계산기)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최저시급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지난달 발표된 2025년 최저임금은 올해보다 1.7% 인상된 시간당 10,030원으로, 처음으로 1만원을 넘는 최저임금 시대가 열렸는데요.
이 결정이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그리고 주휴수당이 포함된 최저시급은 얼마인지에 대해서도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최저임금 계산기를 통해 내가 받을 임금을 쉽게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함께 알아보도록 할게요.

최저시급이란?
최저시급은 법적으로 정해진 시간당 최저 임금을 의미합니다. 근로자의 생활을 보호하고 노동 시장의 공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정해진 것이라고 보면 되는데요.
최저시급이 인상되면 실업급여, 산재급여, 육아휴직 급여, 직업훈련수당, 지역고용 촉진지원금 등 다양한 사회보장 제도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그만큼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025년 최저시급 얼마?
2025년 최저시급은 시간당 10,03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최저시급을 월급으로 환산할 경우 주 40시간, 월 209시간 근무 기준으로 월 2,096,270원을 받게 된다고 하네요.

최저시급 결정 당시 근로자위원회는 10,120원을 제시했지만, 사용자위원회가 제시한 10,030원이 최종 결정되었다고 하는데요. 재적위원 27명 중 23명이 참석한 투표로 이루어진 결정이라고 합니다.
1988년 최저임금제 도입 이후 처음으로 최저시급 1만원 시대를 열게 되었는데요.
하지만 이번 인상률은 1.7%로 역대 두 번째로 낮은 수준입니다.
(참고로 가장 낮은 인상률은 2021년 코로나19 시기의 1.5%였습니다.)

올해 예상 물가 상승률은 2.6%로, 최저임금 인상률 1.7%와 비교해보면 실질 임금은 오히려 감소하는 셈이라 불만을 나타내는 분들도 많습니다.
참고로 새로 결정된 최저임금은 2025년 1월 1일부터 효력이 발생하여 2025년 12월 31일까지 적용될 예정입니다.
2025년 최저시급 주휴수당 포함하면 얼마?
주휴수당은 주 15시간 이상 근무한 근로자에게 유급휴일을 제공하는 제도로, 근로자의 휴식과 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마련된 법적인 권리입니다.
쉽게 말해 일주일 동안 규정된 근무일수를 다 채운 근로자에게 하루치의 임금을 추가로 지급하는 거라고 보시면 되는데요.
이 주휴수당을 포함하면 2025년 최저시급은 시간당 12,048원이 됩니다.
주휴수당은 근로자에게는 혜택이지만, 소상공인에게는 어쩔 수 없이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다보니 일부 소상공인은 근로시간을 쪼개어 고용하는 등의 비양심적인 편법을 사용하기도 하죠.
경영계에서는 주휴수당의 폐지를 지속적으로 요구해오고 있는데요, 폐지 관련 아직까지 확정된 사항은 없습니다.
최저임금 계산기 활용법
최저임금 계산기를 사용하면 시급, 연봉 등을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사용 방법도 간단한데요. 네이버에서 ‘임금계산기’를 검색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적용되는 시급을 기준으로 주급, 월급으로 환산된 금액을 쉽게 확인해볼 수 있어요.

아직 2024년이다보니 시급 9,860원이 기본으로 셋팅되어 있는데 10,030원으로 수정해서 계산하면 됩니다.
2025년에 받게 될 내 월급이나 주급을 미리 계산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겠죠?
지금까지 2025년 최저시급과 주휴수당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노동계에서는 물가 상승률에 못 미친다며 불만을 쏟아내고 있고, 경영계 역시 시급 1만원이라는 심리적 마지노선을 넘어섰다며 비판을 하고 있는 상황인데요.
양쪽 모두 만족하지 못하는 최저임금 결정이었다는 말이 나오고 있지만,
어쨌든 사회적 합의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니 만큼 모두의 이해와 협력이 필요한 부분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오늘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감사합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귓볼주름 치매 전조증상일까? (+치매 원인, 증상, 예방법)